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사이언스타임즈] 국가 중점과학기술- 30대 첨단기술

FERRIMAN 2014. 1. 22. 10:05


미래 먹거리…30대 첨단기술 청사진 발표 국가 중점과학기술 로드맵 공청회 개최 2014년 01월 22일(수)

미래창조과학부는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The-K 서울 호텔에서 공청회를 열고 향후 경제성장을 지속하면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안)’을 발표했다.

전략로드맵(안)에는 향후 10년간 첨단 기술에 대한 실용화·사업화 전략과 함께 표준화·규격·인프라 등 법·제도적 개선사항, 부처별 역할분담·협력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다. 범부처 차원에서 함께 만들어갈 국가중점과학기술은 5대 분야 30대 기술이다.

첫 번째 ‘ICT융합 신산업 창출’ 분야에는 ▲ 정보보호, ▲ 빅데이터, ▲ 실감형 콘텐츠, ▲ 방송통신융합 플랫폼, ▲ 차세대 반도체, ▲스마트 자동차, ▲ 생산시스템 생산성향상, ▲ 첨단 플랜트 등 8개 기술이 포함돼 있다.

“경제발전, 국민 삶 기여도가 선별기준”

두 번째 ‘미래성장동력 확충’ 분야에는 ▲ 차세대 소재, ▲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 바이오에너지, ▲ 서비스로봇, ▲ 의료기기, ▲ 고부가가치 선박, ▲ 미래형 항공기 등 7개 기술을 포함시켰다.

▲ 21일 오후 서울 The-K 서울 호텔에서 열린 '국가 중점과학기술 로드맵' 공청회에서 민경찬 전략로드맵 추진단장이 세부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이 안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오는 4월15일까지 확정할 계획이다.  ⓒKISTEP

세 번째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조성’ 분야에는 ▲ 환경통합 모니터링 및 관리, ▲ 오염물질 저감 및 관리, ▲ 유용 폐자원 재활용, ▲ 기후변화 감시・예측・적응, ▲ 온실가스 처리 및 저감, ▲ 스마트에코빌딩 등 6개 기술이 포함돼 있다.

네 번째 ‘건강장수 시대 구현’ 분야에는 ▲ 맞춤형 신약개발, ▲ 생명시스템 분석, ▲ 유전체 정보이용, ▲ 줄기세포, ▲ 원격건강관리서비스 등 5개 기술이, 다섯 번째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분야에서는 ▲ 식품안전 및 가치창출, ▲ 유용 유전자원 이용, ▲ 자연재해 모니터링 예측・대응, ▲ 사회적 복합재난 저감 등 4개 기술을 포함시켰다.

정부는 그동안 각 부처에서 추천한 190명의 산·학·연 전문가들을 통해 지난해 7월 1차 선정한 120개 국가전략기술을 놓고 선별 작업을 벌여왔다. 민경찬 전략로드맵 추진단장(연세대 교수)은 과학기술 전문가, 산업계,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120개 기술 중 30개 기술을 선별했다고 밝혔다.

민 단장은 또 “범부처 차원의 협력이 필요한 기술들을 중심으로 이번 로드맵을 만들었다”며 “과학기술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사회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또 국민 삶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을 중요한 선별 기준으로 삼았다”고 말했다.

이번 전략로드맵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은 ‘기반 소프트웨어(SW)의 전략적 확보’다. 30개 중점과학기술 중 17개 기술이 소프트웨어(SW) 뒷받침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술들이다. 이를 위해 기반이 되는 SW 확보전략을 별도 추진하고 있다.

핵심기술 뒷받침할 소프트웨어 개발에 중점

‘ICT융합 신산업 창출’ 분야에도 SW 관련 기술이 대거 포함됐다. 빅데이터, 실감형 콘텐츠, 방송통신융합플랫폼, 정보보호 등 각 분야에 걸쳐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100여 개 세부기술 개발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실감형 콘텐츠 기술의 경우 미래 콘텐츠의 모습이 3D화, 실감화, 스마트화, N스크린화 등으로 급속히 진행된다고 보고 콘텐츠 전반에 걸쳐 기획, 제작, 유통 등 이용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개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인력양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다. 선별 작업에 참여한 산・학・연 관계자들은 각 분야 신기술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인력양성이 선행돼야 한다며, 교육계와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했다.

법・제도 등의 인프라 문제도 집중적으로 거론됐다. 많은 신기술이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법과 제도에 막혀 실용화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며, 정책 총괄조정 및 심의를 위한 전략위원회 구성 등을 제안했다.

한편 박항식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조정관은 개회사를 통해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과학기술투자가 경제・산업 발전으로 이어져 국가발전에 크게 기여해왔지만 2000년대 이후 그 효율성이 떨어지고 새 성장동력 창출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결과에 대해 개별 부처에도 책임이 있지만 협력을 위한 가이드라인, 즉 무엇을 어떻게 어느 방향으로 협업·융합하고 역할 분담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은 것도 이유 중 하나라며, 범부처 협력 차원의 이번 기술로드맵을 통해 성장 기반을 마련해나가자고 말했다.

이번 기술로드맵(안)은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될 계획이다. 로드맵이 확정되면 오는 2015년도부터 국가R&D 투자방향(오는 4월15일까지 수립), R&D 예산 배분·조정과 연계돼 반영된다.

또 미래부의 다부처 R&D 공동기획사업의 후보사업 발굴 등 기타 R&D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다양하게 활용될 계획이다.

이강봉 객원편집위원 |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4.01.22 ⓒ ScienceTimes
Copyright(c) 2011 Korea Scien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E-mail : ScienceTimes@science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