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에너지

[사이언스타임즈] 이차전지

FERRIMAN 2014. 8. 4. 22:27

- Sciencetimes - http://www.sciencetimes.co.kr -

생활 바꿀 배터리 신기술, 적용은 언제?

8월 1주차 ICT 신기술과 사건사고

ICT 레이더
 

배터리 신기술 속속 등장, 생활 바뀔까 =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수가 25억 명에 육박했다 이제는 화질이나 인터넷 속도보다는 빨리 충전되고 오래 지속되는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적용한 새로운 배터리 기술이 경쟁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최근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 연구진은 1밀리미터 두께에 충전시간이 10분에 불과한 2차전지를 개발했다. 2차전지란 한 번 쓰고 버리는 건전지와는 다르게 충전 후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가리킨다. 조 교수 연구진이 개발한 플렉서블 전지는 200번까지 휘고 구부려도 100퍼센트 충전되어 제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더불어 보석 오팔의 결정구조를 적용해 충전속도와 지속성을 높이는 기술도 함께 개발했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연구진은 지속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배터리를 개발했다. 순수하게 리튬만 사용한 이 2차전지는 일반 배터리보다 3~4배 오래 가도록 만들어졌다. 리튬은 폭발 위험이 있어서 배터리에 변칙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연구진은 리튬 전지의 양극 표면에 탄소를 코팅해 에너지의 이동을 보호하고 폭발을 막도록 했다. 배터리 신기술이 생활에 적용되면 스마트폰 사용자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 등 교통수단에도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인해 배터리 신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 ScienceTimes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인해 배터리 신기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 ScienceTimes

▲ 애플에 이어 안드로이드 진영과도 싸워야 하는 삼성 = 특허 문제로 지난 몇 년 동안 애플과 싸워온 삼성이 이번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에 의해 소송을 당했다. 안드로이드 진영 내부의 다툼이라서 재판 결과에 따라 전 세계 스마트폰의 판도가 바뀔 수도 있는 문제다.

MS는 2011년에 삼성이 체결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태블릿 관련 지적재산권 사용료를 지불받지 못했다며 미국 연방지법에 소장을 제출했다. MS가 휴대전화 제조회사 노키아를 인수하면서 특허권까지 사들이는 바람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대한 지적재산권 분쟁이 본격화된 것이다.

안드로이드에 대한 대부분의 지적재산권은 구글이 가지고 있지만 일부 핵심기술은 MS가 보유 중이다. 삼성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천문학적 수치를 기록하면서 MS는 특허 사용료를 받아야겠다는 입장이다. 삼성은 아직 공식 반응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애플의 iOS 운영체제와의 소송과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조사 간의 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카카오가 메신저와 게임에 이어 택시 사업에도 진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 연합뉴스

카카오가 메신저와 게임에 이어 택시 사업에도 진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 연합뉴스

▲ 메신저와 게임에 이어 택시 사업까지 진출하는 카카오 = 메신저 ‘카카오톡’과 SNS ‘카카오스토리’에 이어 스마트폰용 게임 시장을 창출해온 카카오가 이번에는 택시 회사들과 손을 잡는다. 해외 택시 대행 서비스와는 다르게 기존의 택시를 이용하는 시스템이어서 큰 반발 없이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 택시 업계는 최근 ‘우버(Uber)’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싸워야 했다. 우버는 숫자는 적으면서 비용은 많이 드는 택시 대신에 차량 소유자와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 마진을 줄이는 방식을 택해 큰 호응을 얻었다. 소비자들은 좋아했지만 각국의 택시 운전사들은 정책적으로 금지시켜야 한다며 파업과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카카오는 일반 차량 소유자가 아닌 기존 택시 회사들과 연계 시스템을 구축해 충돌을 피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실행시키면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택시로 메시지가 전달돼 빠른 시간 내에 도착하는 방식이다. 결제까지도 앱으로 가능하도록 협의가 이루어진다면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을 다시 한 번 바꿔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2014 Sciencetime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