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국내 차부품업체 10개 중 3개 사라진다”
입력 2022.05.09 00:03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한국자동차연구원은 8일 펴낸 ‘미래차 산업 전환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미래차 산업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를 양대 축으로 성장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 부품 중심에서 배터리와 모터 등 전기·전자 부품 중심으로 생태계가 전환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380만 대인 글로벌 친환경차(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전기·수소차) 판매량은 2025년 2840만 대, 2030년 5770만 대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체 차량 판매량에서 친환경차의 비중은 같은 기간 14%→28%→47%로 수직 상승한다. 이에 반해 내연기관차 판매량은 2030년 6470만 대(53%)로 쪼그라들 것으로 예상됐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보고서는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이 연평균 40% 넘는 고성장을 이어가 2020년 64억 달러(약 8조1300억원), 2035년 1조1204억 달러(약 142조3500억원) 규모까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의 경우 미래차 관련 부품 국산화율과 기술 수준이 내연기관차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내연기관 부품은 국산화율이 95%에 달하지만 전기차 부품 국산화율은 68%, 수소차는 71%,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는 38% 등으로 낮고, 미래차 기술 수준도 선진국 대비 78.8%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부품 업체가 미래차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시장에서 퇴출당할 위험도 커졌다. 실제 내연기관차에 들어가는 개별 부품 수는 2만5000개 안팎이지만 전기차의 경우 20~30%가량 줄어든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자동차연구원은 자동차 전동화에 따라 국내 내연기관 부품기업이 2019년 2815곳에서 2030년 1970곳으로 845곳(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엔진부품 및 전기·전자장비 업체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친환경차와 수소차 부품 업체는 각각 350개와 400개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연구원 측은 “미래차 산업은 전자장비 부품·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전환이 불가피해 기계공학 중심의 내연기관차 관련 인력은 감소할 것”이라며 “독일의 미래차 산업 태스크포스(TF)는 203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8만8000명에서 최대 40만 명의 기존 자동차산업 근로자가 실직할 수 있다는 예측했다”고 밝혔다.
이항구 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미래차 인력 수요가 2028년께 8만9000여 명에 달할 것을 예상된다. 6년 안에 3만8000여 명의 엔지니어가 더 필요하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기업경영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뉴스룸] 반도체, 파운드리, 시스템 반도체 (0) | 2022.07.30 |
---|---|
[중앙일보] 재벌 순위, 대기업 집단, 신규 대기업 (0) | 2022.05.03 |
[중앙일보] 슘페터, 기업혁신, 기업경쟁력, 이노베이션, innovation (0) | 2021.10.01 |
[중앙일보] 부자, 재벌, 한국 부자 순위 (0) | 2021.06.08 |
[중앙일보] 글로벌 기업 순위, 삼성전자 순위, 시가총액, 반도체 기업 (0) | 2021.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