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환경은 인간의 정신질환에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 걸까. ‘화병’은 불행한 현실을 참고 받아들여야 하는 억압된 문화에서 초래된다. ‘은둔형 외톨이(일본의 히키코모리)’ 환자 역시 모자관계가 밀착된 한국과 일본에 많다. 타인에 대한 배려를 유난히 강조하는 문화권에선 대인공포증 환자가 빈발한다. 고유한 문화가 정신질환을 초래하는 셈인데 똑같은 문화권에 놓여도 타고난 환경적·생물학적 요인이 취약한 사람에게서 발병한다. 우리나라에서 빈발하는 정신질환의 특징과 해결책을 알아본다.
화병 참지 마라
‘가슴 속에서 열이 치밀어 오르고 가슴이 두근거린다’,‘가슴이 꽉 막히고 말하기도 힘들다’. 1996년 미국 정신과협회에서 한국인 특유의 질병으로 인정한 화병 증상이다. 발병 초기엔 분노심에 추운 날씨도 못 느낄 정도로 화기가 강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가슴 속에 한 맺힌 응어리가 우울증의 모습을 보인다. 주로 남편의 반복되는 외도·구타·술주정·도박, 시댁의 지속적인 구박을 10년 이상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했던 중년 여성에게 빈발하지만 장기간 돌파구 없는 경제적 궁핍에 몰린 남성도 환자가 된다.
분노심이 화병으로까지 진행하는 이유는 문제 해결 방법을 한(恨)과 정(精)이란 전통 문화의 틀 속에서 찾기 때문. 분을 속으로만 삭히다 생긴 ‘벙어리 냉가슴 앓기’로 초래된 병이다. 실제 환자들은 분노스러운 상황을 체념하면서 자신을 부당한 환경에 맞추려고 애쓴다. 따라서 희노애락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사회·경제적 여건이 좋아진 신세대 젊은 층에선 중년기에 화병이 발생할 사람이 급격히 줄 것으로 본다. 치료는 ‘참는 것만이 미덕은 아니다’는 인식 아래 문제점을 이성적으로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증상 호전을 볼 수 있다. 예컨대 남편의 반복적인 외도가 문제일 땐 재발하면 더 이상 참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차분히 표현하고 또 실천해야 한다.
대인공포 기를 펴라
타인에 대한 지나친 배려는 대인공포증 환자를 양산한다. 환자들은 자신의 외모·체취·표정·동작 등이 타인을 불쾌하고 당황스럽게 만들까봐 극도로 두려워 해 어떻게 해서든지 사람 앞에 서는 일을 피하려 든다. 병의 본질은 내가 남에게 피해를 준다는 일종의 가해망상인 셈인데 사회생활이 힘들어지고 시간이 가면 우울증이 동반되기 쉽다.
이 병은 극단적인 타인 배려 문화가 팽배한 일본에 많으며 한국·중국 등 유교문화권에서도 보고된다. 치료 목표는 환자의 비합리적인 생각을 바꾸는 데 있다. 단 ‘너의 생각이 틀렸다’‘문제 상황을 직시하라’는 식의 주문만으로 환자의 생각이 쉽게 변하지 않는다. 대신 정신과 전문의의 상담과 더불어 공포심에 단계적으로 노출시키는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이다.
중국의 쉔퀘이(ShenK’uei)란 병도 남성의 정액을 생명의 정수로 보는 중국 문화에 집착한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정액이 소실되는 상황, 즉 자위·몽정 등의 행위를 하거나 소변에서 정액처럼 뿌연 물질이 보일 때 성기능 장애(조루증·발기부전)·불면·피로·어지럼증·요통·허약감 등의 증상을 보인다. 정액 소실을 생명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기 때문. 성행위·몽정·자위행위 등을 통해 정액을 정기적으로 배출하는 게 건강에 좋다는 생각을 하는 서양인 혹은 서양에서 자란 중국인 2세에겐 이런 병이 없다.
외톨이 간섭 마라
하루 일과를 주로 자신의 방안에서 해결하는 은둔형 외톨이. 하지만 이들도 내심으로 친구도 사귀고 어울리고 싶어 한다. 단지 자신을 잘 표현할 줄도,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도 떨어져 남과 어울리지 못하는 일이 반복되다 어느 날부터 방에서 은둔하게 된 것뿐이다.
이런 성향을 가진 사람은 어느 사회에나 존재한다. 하지만 성인(대부분 만 18세)이 되면 경제적 독립을 당연시하는 서양문화권에선 사회생활을 안 하고 방안에서 몇 년씩 지내는 일 자체가 불가능하다. 성인 자녀를 한 집에서 돌보는 한국·일본 등의 문화권에서 유독 문제되는 이유다. 치료는 빠를수록, 즉 집안에 은둔하려 드는 자녀를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수록 효과적이다. 예컨대 정신분열증 등 정신과 질병이 은둔을 조장할 땐 질병치료로 사회 복귀가 가능하다. 내재된 갈등이 문제일 땐 집단치료가 효과적이다. 자녀의 은둔형 외톨이 예방을 위해선 부모가 자녀에게 무관심·과잉보호·집착 등 병적인 양육 태도를 삼가면서 남과 더불어 사는 모범을 보여주는 게 핵심이다.
황세희 의학전문기자·의사
◆도움말 주신분=한림대 의대 정신과 김도훈 교수, 성균관대의대 정신과 이동수 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