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핵심 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 제작 공정이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으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만들어내는 필름인 MEA 시험 생산에 성공,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과 함께 25인승 연료전지버스에 장착해 시험 운전을 마쳤다고 28일 밝혔다.
MEA 양산기술은 세계적으로 3M과 듀폰 등 일부 대기업만 확보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에 성공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원은 특히 대용량 고분자 연료전지에 활용될 대면적 MEA를 생산해 50㎾급 연료전지 스택 모듈에 적용한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인 양산 제품과 동등한 성능을 보였고 내구성은 20%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50㎾ 스택에 들어가는 MEA의 양도 대략 320개 수준으로, 기존 양산 제품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연료전지연구단 양태현 단장은 “이번에 제작된 MEA를 실제 스택에 적용한 결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그룹 및 회사와 동일하거나 상회하는 결과를 얻었다”며 “이번 개발로 2013년경 약 5조 원 규모의 MEA 수출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이번 양산화 공정 개발로 연료전지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문희 연구원장은 “연료전지 핵심부품의 양산화 기술이 연료전지 상용화 개발 촉진과 더불어 차세대 그린에너지 기술 보급과 산업 확산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언스타임즈] 차기 복합형 소총 K-11 (0) | 2009.11.08 |
---|---|
[조선일보] 초전도체를 이용한 전기 저장장치 (0) | 2009.11.02 |
[조선일보] 압전소자 (0) | 2009.11.02 |
[중앙일보] 부품업계의 '히든 참피언' (0) | 2009.11.02 |
[전자신문] 리튬2차전지, 음극할물질 재료 개발 (0) | 2009.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