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젊을 땐 반체제 노동운동…15년 전에 저성장 시대 경고
[중앙일보] 입력 2016.07.01 02:26 수정 2016.07.01 03:24
삶과 추억 | 앨빈 토플러 1928~2016
『미래의 충격』 『제3의 물결』 등 통해
시대 거대한 흐름 해석할 힌트 제시
DJ정부 대통령 자문관으로도 활동
그의 이름을 세상에 알린 대표작 『미래의 충격』은 1970년에 나왔다. 세계미래학회가 탄생하고 미래학 전문 저널이 등장하던 때였다. 과학기술에 대한 맹신과 경제 개발의 붐으로 사회변화가 급속하게 진행될 때 그는 브레이크를 걸었다.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 사람들이 큰 충격을 받고 있다는 점, 그러다 보니 변화의 방향을 정하는 데 논의와 합의를 통한 민주주의가 작동하지 않고 소수의 힘에 좌우된다는 것을 문제 삼았다.
토플러는 젊었을 때 노동운동에 뛰어든 반체제 투사였다. 그의 부인 하이디도 노동운동 현장에서 만났다. 둘은 73년 『문화소비자』라는 책부터 늘 공동 집필했는데, 사실 토플러의 첫 책 『미래의 충격』도 하이디가 자료 조사를 해주었다. 하이디는 다양한 대학에서 명예 법학박사를 받았고 사회변화 연구에 대한 공헌으로 이탈리아 대통령에게서 메달도 받았다.
토플러는 노동운동의 한계를 절감한 후 미래운동으로 전환한다. 한 사회가 앓고 있는 문제는 노동뿐 아니라 법과 정치 제도, 경제시스템, 문화 등이 결합돼 이를 풀려면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연대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 미래운동이었다. 무엇보다 그가 남긴 중요한 유산은 우리에게 시대의 거대한 흐름을 이해하도록 힌트를 주었다는 점이다.
그는 80년에 펴낸 『제3의 물결』에서 우리가 농경사회, 산업사회를 거쳐 정보사회로 나아간다고 보았다. 산업화 경제모델은 쇠퇴하며 지식기반 경제, 창조와 혁신이 일상인 사회로 전환돼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자면 당장은 불편해도 혁신을 받아들이고, 혁신가를 대우하고, 더 나은 아이디어에 대해 공정하게 보상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했다.
그가 우리에게 오롯이 남긴 유산도 있다. 토플러가 2001년 김대중 정부에 제출한 보고서 ‘위기를 넘어서:21세기 한국의 비전’에는 우리 사회가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이 풍부하다.
예컨대 그는 더 나은 과학기술의 발명도 중요하지만 새로운 방법론을 세계에 제공해 다른 나라 과학기술자들이 우리의 방법론 덕분에 혁신을 일구도록 도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투자하는 액수의 증가도 중요하지만 연구개발이 어떤 목표를 지향해야 하는지 시민들과 논의하고, 연구개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결정하는 분석기법의 개발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치 오늘의 한국 사회를 보듯 “많은 실업자는 단지 기술 변화와 신경제로의 이행으로 일자리를 잃는 것이 아니다”라며 “불합리한 기업 운영이나 어설픈 경제정책 등이 실업자들을 양산”한다고 지적했다. 높은 청년실업률, 대대적으로 벌어지는 기업 구조조정, 저성장의 시대에 무엇이 문제인지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굿바이 앨빈, 당신은 우리에게 많은 유산을 남겨주었어.
Alvin Toffler
● 1928 미국 뉴욕 출생
● 1946 뉴욕대 입학(영문학 전공). 부인 하이디 만남
● 1950 클리블랜드로 이주해 알루미늄 제조공장에서 용접공으로 5년간 일함
● 1960 펜실베이니아 데일리지 워싱턴지국 백악관 담당기자, '포춘'지에 기업·경영 관련 칼럼 기고
●『미래의 충격』(1970),『제3의 물결』(1980),『권력이동』(1990),『부의 미래』(2006),
『 불황을 넘어서』(2009) 등 출판
● 코넬대 초빙교수
● 1928 미국 뉴욕 출생
● 1946 뉴욕대 입학(영문학 전공). 부인 하이디 만남
● 1950 클리블랜드로 이주해 알루미늄 제조공장에서 용접공으로 5년간 일함
● 1960 펜실베이니아 데일리지 워싱턴지국 백악관 담당기자, '포춘'지에 기업·경영 관련 칼럼 기고
●『미래의 충격』(1970),『제3의 물결』(1980),『권력이동』(1990),『부의 미래』(2006),
『 불황을 넘어서』(2009) 등 출판
● 코넬대 초빙교수
박성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박사
'내가 보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 김영란법 (0) | 2016.07.04 |
---|---|
[중앙일보] OLED 디스플에이 (0) | 2016.07.04 |
[중앙일보] 가습기 살균제 (0) | 2016.06.22 |
[중앙일보] 은퇴 퇴직 (0) | 2016.06.22 |
[중앙일보] 미래에 로봇으로 대체될 직업, 사라질 직업 (0) | 2016.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