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동전·꽃병·고려청자…700년 전 신안보물선 만나다
[중앙일보] 입력 2016.07.26 01:18 수정 2016.07.26 01:47
국립중앙박물관 발굴 40주년 특별전
1323년 중국서 일본 가던 중 침몰
도자기 2만 점, 동전 800만 개 등 실려
동북아 경제·사회 연구 커다란 영향
오늘부터 2만여 점 매머드급 전시
무엇보다 규모가 매머드급이다. 신안선의 ‘거의 모든 것’을 망라했다. 발굴 전체 유물 2만4000여 점 가운데 2만300여 점을 모았다. 중앙박물관을 비롯해 지방 박물관에 있던 관련 유물을 한자리로 불러냈다. 신안선에 대한 종합보고서에 해당한다. 중앙박물관 김영미 학예사는 “기존의 신안 유물전은 명품 위주였다. 지금까지 공개된 건 전체의 5% 남짓인 1000여 점에 그쳤다”며 “중앙박물관 전시 역사상 가장 많은 수량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인양 물품 대부분은 송(宋)·원(元)대 도자기다. 청자·백자 등 2만여 점에 이른다. 당시 도자기가 이처럼 무더기로 발굴된 건 중국에서도 유례가 없는 일이다. 고려청자도 7점 포함됐다. 서기 1~14세기 유통됐던 중국 동전 66건 299종(약 800만 개, 무게 28t)도 나왔다. 동전과 자단목은 배의 무게중심을 잡는 역할을 했다. 금속기·칠기·유리제품·약재 등도 다양하게 출토됐다. 해당 유물은 수심 20m 안팎의 깜깜한 뻘 바닥에 묻혀 있었다. 산소 공급이 적어 대체로 양호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전시에선 고려 후기 동아시아인의 일상도 조명한다. 중국·일본 박물관에서도 관련 유물 60여 점을 빌려왔다. 차(茶)·향·꽃꽂이 등을 즐긴 당대 상류층의 문화생활, 바둑·장기 등으로 시간을 보낸 뱃사람들의 여가문화도 소개한다. 중앙박물관 이영훈 관장은 “고통 속에 침몰된 난파선이 보물선으로 남은 건 역사의 아이러니”라며 “당대의 교류양상을 보다 활발하게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특별전은 10월 25일부터 내년 1월 30일까지 국립광주박물관에서 계속된다. 전시 품목과 규모는 일부 조정될 예정이다. 현재 신안선이 전시된 목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도 10월 26일부터 ‘한국 수중발굴 40년’ 특별전을 연다.
박정호 문화전문기자
'내가 보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 노년기의 남성이 위험하다 (0) | 2016.08.19 |
---|---|
[중앙일보] 한국의 외식산업-너무 많은 식당 (0) | 2016.08.15 |
[사이언스타임즈] 홀로그램(hologram) (0) | 2016.07.28 |
[CBS 뉴스] 산업안전 (0) | 2016.07.05 |
[중앙일보] 김영란법 (0) | 2016.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