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20세기 주름잡은 내연기관차 로드킬당하나
입력 2017-08-31 01:12:01
수정 2017-08-31 03:34:01
■올해 자동차 업계 화두, 전기차「올해 자동차 업계의 화두는 단연 전기차다. 올 초 글로벌 컨설팅 업체 KPMG가 펴낸 ‘2017 글로벌 자동차 산업 경영자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업계의 핵심 트렌드(key trend) 1위로 ‘배터리 전기차(BEV)’가 꼽혔다. 42개국 자동차 업계 최고경영진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절반이 이같이 응답했다. 전기차에 대한 관심은 10위(2014년), 9위(2015년)에 머물다가 지난해 3위로 올라섰다. 최근 각국 정부가 환경 규제를 강화하면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올해 트렌드 2위는 연결성과 디지털화, 3위는 수소연료전기차(FCEV)로 나타났다. 내연기관 다운사이징은 10위에 머물렀다. 내연기관에 대한 관심은 2015년 2위에서 지난해 10위로 떨어졌다.
」
1894년 파리~루앙 자동차 경주에서 3위로 들어온 푸조의 휘발유 엔진 자동차 3hp. [사진 위키피디아]
1894년 7월 프랑스에서 세계 최초의 자동차경주대회가 열렸다. 수도 파리에서 북쪽으로 126㎞ 떨어진 도시 루앙까지 자동차 속도를 겨루는 경기였다. 유럽 각지에서 자동차 마니아들이 몰려들었다. 참가비 10프랑을 내고 등록한 선수가 102명이었다.
주최 측은 말이 끄는 마차를 제외하고 엔진 동력에 제한을 두지 않았다. 휘발유 엔진이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중력(9명), 압축 공기(5명), 전기(3명), 수력(2명), 프로펠러 등으로 차를 굴리겠다고 출사표를 던진 이들도 있었다. 예선에는 24명만 나타났다. 그중 파리 근교 50㎞ 구간을 3시간 이내에 주파한 21명이 본선 참가 자격을 얻었다.
우승은 자동차 회사 푸조와 파나르 르바소에 돌아갔다. 두 회사의 가솔린 엔진 자동차를 운전한 선수들이 7시간대 안팎의 기록으로 상위권으로 들어왔기 때문이다. 파리~루앙 경주는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內燃機關) 자동차 시대의 서막을 올린 행사이기도 했다.
내연기관은 실린더 내부에서 연료를 태워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을 말한다. 최초의 실용적인 내연기관은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기술자인 에티엔 르누아르가 개발한 가스 엔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그는 1860년 특허를 취득했다. 이후 여러 발명가에 의해 상용화되면서 내연기관은 주류 동력장치로 떠올랐다. 내연기관은 사용하는 연료에 따라 가스기관·가솔린기관·디젤기관 등으로 분류된다.
당시 전기자동차도 개발은 됐다. 자동차경주대회에 참가 신청을 했지만 예선에도 뛰지 못했다. 내연기관보다 힘이 달리고 주행거리가 짧았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가 상용화하지 못한 이유다. 그로부터 123년이 지났다. 세상이 바뀌고 있다.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를 대체할 대안으로 떠올랐다.
전기차, 오일·필터 없어 관리비용 절반
메르세데스-벤츠가 지난 19일 미국 캘리포니아 페블비치에서 공개한 전기 콘셉트카 ‘비전 메르세데스-마이바흐 6 카브리올레’. 네 바퀴에 4개의 모터를 탑재했다. 내연기관이 있던 공간은 트렁크로 바뀌었다. 날개처럼 열리는 후드 안에는 맞춤 제작한 짐 가방과 우산, 접시·찻잔·술잔 세트 등이 있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500㎞다. 최고 시속은 250㎞다. [사진 메르세데스-벤츠]
최근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100여 년간 자동차와 산업계를 지배한 내연기관 시대가 저물고 있다. 전기모터가 곧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내연기관 자체는 선박·항공기 엔진으로 계속 쓰이겠지만, 땅 위에서의 역할은 사실상 끝났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는 이를 ‘내연기관 로드킬당하다’라고 표현했다.
19세기에 발명된 내연기관이 20세기에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이끌었듯, 20세기에 상용화한 전기차는 21세기에 가장 대중적인 이동수단이 될 수 있을까.
현재 세계 자동차 가운데 순수 전기차는 1%가 채 안 된다. 이렇게 작은 존재감으로 어떻게 내연기관차에 필적할 수 있을까. 답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전기차 관련 기술에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UBS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가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는 가장 큰 이유는 비싼 가격(48%)이다. 짧은 주행거리(43%), 부족한 충전시설(42%), 짧은 배터리 수명(39%)도 꼽힌다. 다시 말해 차 값이 싸지고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 전기차 선택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어지는 셈이다. 최근 이 같은 흐름이 생겨나고 있다. 자동차를 구입해 관리하고 사용하는 데 드는 모든 비용을 ‘총 소유 비용(Total Cost of Ownership)’이라고 한다. UBS는 전기차 심층분석 보고서에서 "지금까지 전기차 총 소유 비용은 내연기관차보다 높았으나 내년에 처음으로 두 차량의 총 소유 비용이 동등한 수준이 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내년을 ‘전기차 수요의 변곡점’으로 전망했다. 휘발유·경유 가격이 비싼 유럽에서 내년에 총 소유 비용이 비슷해진다. 중국은 2023년, 미국은 2025년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총 소유 비용이 어깨를 나란히 할 것으로 예측된다.
UBS는 100% 배터리로 구동하는 GM 쉐보레 볼트와 내연기관차인 폴크스바겐 골프를 비교 분석했다. 주행거리 383㎞의 가장 대중적인 전기차라는 점에서 볼트를, 그와 가격·성능이 비슷한 내연기관차로 골프를 선택했다.
요트에서 영감을 얻은 외관과 라운지 스타일 인테리어가 돋보인다.[사진 메르세데스-벤츠]
볼트의 핵심 부품은 배터리팩이다. 지금 가격은 1만2500달러다. 8년 뒤인 2025년에는 7800달러로 예상된다. 36% 싸진다. 기술혁신으로 성능이 개선되고 가격은 내려가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0년 1kWh당 1000달러이던 배터리 가격은 올해 130~200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를 반영한 볼트의 총 제조 비용은 현재 골프보다 1만6500달러 비싸다. 하지만 2025년에는 격차가 2300달러로 좁혀질 것으로 분석됐다. 전기차의 총 소유 비용이 줄어드는 건 유지관리비가 내연기관차보다 적게 들기 때문이다. 골프의 내연기관 파워트레인(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은 167개다. 볼트의 전기모터에 들어가는 부품은 35개에 불과하다. 전기차는 각종 오일과 필터도 없다. 정기적인 관리와 교환이 필요하지 않다. 볼트의 연간 관리 비용은 255달러, 골프는 610달러로 추산됐다.
패트릭 허멜 UBS 애널리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전기차는 비싼 차 값만 생각하고 유지관리비가 적다는 점을 간과하기 쉽다"고 말했다. UBS는 2025년 전기차 판매가 지금보다 50%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1% 미만인 전기차 점유율은 14%까지 오르게 된다.
운전석과 조수석을 가로지르는 투명한 관에 광섬유가 보이도록 디자인했다. [사진 메르세데스-벤츠]
유럽에서는 자동차 3대 중 1대(30%)가 전기차가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뉴에너지 파이낸스(BNEF)는 전기차의 판매 가격이 내연기관차보다 싸지는 시점을 2025~2029년으로 전망했다.
"내연기관 성능 개선, 입지 오래갈 것" 반론도
최근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로 내연기관차의 입지는 쪼그라들고 있다. 주요 국가들이 잇따라 내연기관차 시판금지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지난달 니콜라 윌로 프랑스 에너지환경 장관은 "2040년까지 모든 휘발유와 경유차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영국도 2040년을 내연기관차 퇴출 시한으로 정했다. 내연기관 자동차 종주국인 독일도 판매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인도는 2030년까지 시판하는 자동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내놨다.
자동차 업체가 먼저 나서기도 한다. 지난달 볼보는 2019년부터 내연기관으로만 구동하는 자동차는 만들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전통적인 자동차 회사로서는 처음이다. 모든 신차를 배터리로 구동하거나 배터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차로 만들겠다는 의미다. 하칸 사무엘손 볼보 최고경영자(CEO)는 이를 발표하면서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의 종식을 알린다"고 말했다.
다른 쪽의 반론도 만만치 않다. 주유하는 시간에 비해 긴 충전시간과 짧은 주행거리가 빨리 개선되기 어려워 전기차 확산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존 헤이우드 교수는 내연기관이 아직 죽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그는 2050년에도 자동차의 60%가 내연기관차이고, 배터리로만 움직이는 순수 전기차는 15%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존 내연기관의 성능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전기차가 내연기관을 대체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마즈다와 인피니티는 최근 엔진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인 신형 제품을 잇따라 발표했다.
GM의 래리 미할코 엔지니어링 디렉터는 "내연기관 엔진은 지속적으로 효율을 높이고 있다. 상당 기간 계속 갈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오토모티브 리서치센터의 데이비드 콜 디렉터는 NBC 인터뷰에서 "오래된 기술은 새로운 기술의 도전을 받을 때 가장 극적인 돌파구를 만들어낸다"며 "내연기관 엔진 성능이 개선될수록 전기차로 옮겨가야 할 명분은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박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