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비메모리 1만 5000명 채용···'칩설계 천재' 찾는다
입력 2019-04-25 05:00:06
수정 2019-04-25 09:39:00
수정 2019-04-25 09:39:00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기로 한 2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직원들이 출입하고 있다. 이날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 500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5/8bf129df-470d-4b07-a314-15d4906ddfc9.jpg)
삼성전자가 비메모리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기로 한 2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직원들이 출입하고 있다. 이날 '반도체 비전 2030'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 5000명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비메모리는 '다품종 소량생산', 삼성 자본력만으로 안돼
이번 대책을 발표하기 전까지 삼성전자 안팎에선 시스템 반도체에서 중국의 인적·물적 토양이 한국 대비 우위에 있다는 위기감이 컸다고 한다. 중국반도체협회(CSIA)에 따르면 반도체 칩 설계 업체(팹리스 업체)가 지난해 1698곳으로 국내 팹리스(약 150곳) 대비 11배 수준이다. 중국의 팹리스 업체는 2015년 중국 정부가 ‘제조 2025’ 계획을 발표한 이후 급격히 늘어났다. 반도체 업계에선 팹(Fab)은 공장을 의미하는데, 공장 없이 설계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팹리스(Fabless)로 구분한다.

한국 대비 기업 수 11배…중국의 비메모리 토양
중국 내 대표적인 경제특구인 선전(深川)에선 매년 850억원에 달하는 시스템반도체 지원 기금을 조성한다. 양산품이 나오기 전까지 설계 툴, 설계 자산(IP), 테스트 장비 투자비도 50%를 지원한다. 같은 공단 내에서 완제품 업체가 팹리스 업체 칩을 처음 구매할 때에는 구매 비용의 50%를 보조해준다. 선전에서 설계된 칩은 인접한 대만의 위탁생산(파운드리) 라인에서 양산에 들어간다. 일종의 '양안 협력'이다.
화웨이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P30에 탑재된 모바일 프로세서(AP) '기린 980'에 세계 최초로 7나노(㎚) 공정이 적용된 것도 대만에 있는 글로벌 파운드리 1위 업체 TSMC의 양산 능력 덕분이다.
![삼성전자는 EUV 공정을 갖춘 화성캠퍼스 파운드리 생산라인에서 벤처 팹리스가 설계한 각종 칩을 생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904/25/03f91ab3-ceb3-4015-9586-55a6f580f245.jpg)
삼성전자는 EUV 공정을 갖춘 화성캠퍼스 파운드리 생산라인에서 벤처 팹리스가 설계한 각종 칩을 생산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삼성의 파운드리 라인을 '마더 팹'으로

자료: 트렌드포스
산학 연계에 기반한 채용 전제형 '반도체 학부(반도체 계약학과)' 설립 방안 역시 조만간 정부가 발표할 ‘비메모리 육성 대책’에 포함될 전망이다. 학부 수준에서부터 서울대·KAIST 등 연구중심 대학 내 훌륭한 인재를 잡아야 반도체 경쟁력이 확보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삼성전자 역시 이번 대책을 발표하면서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스템 반도체 R&D 및 제조 전문인력 1만5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지원 TF서 마지막까지 가다듬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김영민 기자 bradkim@joongang.co.kr
☞비메모리 반도체=정식 용어는 시스템 반도체. 전자 제품의 ,뇌 역할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휴대전화의 두뇌 역할을 하는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이동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뎀칩, 스마트폰 카메라 모듈에 들어가는 이미지센서 등 D램·낸드플래시를 제외한 각종 칩셋이 포함된다.
☞팹리스(Fabless)=반도체 업계에서 팹(Fab)은 공장을 의미하는데 공장 없이 설계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팹리스(Fabless)로 일컫는다. 미국 퀄컴이나 애플 역시 모바일 AP를 설계만 할 뿐이지 직접 생산은 하지 않는다.
☞파운드리(foundry)=팹리스 업체가 설계한 비메모리 반도체의 생산 부분을 맡아주는 사업. 1980년대 중반 퀄컴 같은 팹리스 기업이 등장한 이후 파운드리 역시 아웃소싱 수요로 성장을 거듭했다. 대만의 TSMC(Taiwan Semiconductor Mfg Co.)와 UMC(United Microelectronics Corp.)가 초기 파운드리 시장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업경영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일보] 반도체 시장 점유율, 한국기업 경쟁사 (0) | 2019.07.26 |
---|---|
[중앙일보] 삼성, 화웨이, 노키아, 5G,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 (0) | 2019.05.19 |
[중앙일보] 비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칩설계 인력 (0) | 2019.04.25 |
[중앙일보] 글로벌 인재, 한국 기업의 매력 (0) | 2019.03.24 |
[중앙일보] 한국의 자동차산업 현황 (0) | 201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