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웃기는 농담, 왜 생각이 나지 않지? 인간의 기억, 컴퓨터 메모리와 유사해 2009년 03월 25일(수)
“오늘 진짜 웃기는 얘기 들었다.”
이런 일을 경험해본 적이 혹시 있는지? 웃기는 말의 주요 골자는 기억나는데, 정확한 단어나 뉘앙스는 생각나지 않는다. 이러는 이유가 뭘까? 기억력이 나빠서일까? 아니면 배꼽 잡고 웃다보니 농담이 한 귀로 들어오다 다시 한 귀로 새어나가 버려서일까? 최근 뉴욕타임스는 우리 인간이 왜 이런 특성을 갖는지에 대한 기사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이 문제는 우리 기억이 갖는 버릇 때문이라고 한다. 기억을 연구하는 과학자에 따르면 우리가 농담을 쉽게 잊어버리는 건 기억의 버릇 중 하나로, 이는 기억의 구조에 관하여 상당히 놀라운 점을 드러내준다고 한다. 과연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유별나고 기묘한 인간의 기억 우리의 기억이 이렇게 기묘하고 유별난 점이 있다는 것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번에는 잔소리 안 듣도록 올해는 기필코 우리 부인의 생일은 꼭 챙겨야지' 하고 다짐했건만 어느새 날은 이미 지나가버린 적은 없는지? 그러면서도 외울 생각이 전혀 없는 광고음악은 왜 무덤에 들어갈 때까지 머릿속에 깊이 박혀 있는 것일까? 그리고 전화번호와 같은 연속적인 정보는 외우려면 부분부분 잘라 의미 있게 조합을 해야 하는 걸까? 또 다른 예가 더 있다. 우리는 갑자기 사람 이름이나 단어 등이 생각나지 않을 때 옆에 있는 누군가에게 “그게 뭐였지”라는 식으로 물어본다. 가령, “지난주 금요일에 본 영화 속 주인공의 이름이 뭐였지?” 하고 같이 영화를 본 친구나 동료, 배우자에게 묻는다. 그럴 경우, 상대방이 “○○○이잖아” 하고 속 시원하게 얘기해주면 좋겠지만, “아 그 사람, 뭐였더라? 이름이 나도 지금 떠오르지 않는다”는 답을 듣는 경우가 많다. 왜 인간의 기억력이란 건 우리 마음과 달리 제 맘대로 외우고 잊어버리는 걸까? 인간의 기억과 그것의 뿌리 깊은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미 컬럼비아 대학의 뇌과학자 스콧 A 스몰 교수는 인간의 기억이 컴퓨터 메모리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말한다. 컴퓨터 메모리에는 버퍼가 있다.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의 영역이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뇌에는 버퍼 기능을 하는 단기기억이 있다. 뇌가 사랑하는 음악
해마는 단기기억을 좀 더 영구적인 형태로 바꾸는 데 필수적이다. 그리고 우리 머리의 앞부분에 위치한 전두엽은 정교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로 할 때마다 저장된 파일을 불러온다. 한동안 과학자들은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이 뇌의 다른 부분에 저장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왔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단기와 장기의 진정한 차이는 뇌 속에 기억이 얼마나 강하게 새겨져 있는지에 달려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얼마나 많은 세포들이 서로 얼마나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느냐에 따라 기억은 단기와 장기로 나눠지는 것이다. 그래서 깊이 박힌 기억일수록 더 읽기 쉽고 강건한 뇌세포들이 기능을 발휘한다. 기억형성에 대한 이런 과정은 왜 어떤 종류의 것들이 쉽게 기억에 남으면서 사라지지 않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바로 음악이다. 미 콜로라도 주립대에서 음악과 뇌과학을 연구하는 마이클 토트 교수는 “뇌는 패턴 속에서 정보를 구성하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면서 “음악은 이런 뇌의 특성에 맞춰 연주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듣는 입장에서 음악은 지나치게 규칙을 갖는 언어로, 우리 뇌가 발명했으며 뇌가 듣기를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니 뇌는 간단한 리듬과 멜로디, 반복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토트 교수는 “어린 아이에게 26개의 알파벳을 그냥 외우라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하지만 알파벳에 멜로디를 붙여줌으로써 유치원 아이들도 쉽게 ABC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진짜 웃기는 농담과 음악의 차이 그런데 진짜 웃기는 농담은 이런 경향에 펀치를 날린다. 농담이 통하는 것은 어떤 패턴이 갖는 경로를 따라가는 게 아니라 그 자체를 전복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미 메릴랜드 대학의 심리학자이자 『웃음: 과학적 연구』(Laughter: A Scientific Investigation)의 저자인 로버드 프라빈스 교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시작해놓고선 반대 방향으로 확 틀어버려 기대에 어긋나게 함으로써 농담이 된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진짜 웃기는 농담을 만들려면 기억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야 한다. 기억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진짜 웃기는 농담이 왜 잘 기억에 남지 않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이유를 제시해준다. 하버드 대학의 심리학자이자 『기억의 7가지 원죄』(The Seven Sins of Memory)의 저자인 다니엘 L. 샤크터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어떤 사건의 세밀한 부분까지 그대로 회상해내는 것과 그것의 요점만을 떠올리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프라빈스 교수는 “우리 인간은 이야기의 요점을 회상하기는 잘하지만 들었던 말을 그대로 떠올리기는 어려워한다”고 말한다. 어떤 사건을 이야기하는 것은 전체적인 구성 속에서 말할 수 있지만 농담은 말할 때의 뉘앙스와 정확한 단어, 타이밍에 따라 살고 죽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우리는 대개 흥분이나 슬픔처럼 감정을 일으켰던 사건에 대해 더 잘 기억하는 편이다. 하지만 감정은 우리의 주의력을 떨어뜨리는 역할도 한다. 프라빈스 교수는 “감정이 수반될 경우 우리의 주의력을 핵심에만 몰두하게 해 주변의 자세한 것들을 오히려 기억하는 데 방해가 된다”고 말한다. 그러니 배꼽을 잡고 들었던 진짜 웃기는 농담이라면 한 귀로 들어와서 금세 다른 한 귀로 빠져나가고 마는 셈이다. 다음번에 진짜 웃기는 얘기를 들었을 때 써먹고 싶다면 바로 그 자리에서 웃음을 멈추고 메모를 하는 수밖에 없다. |
박미용 기자 | pmiyong@gmail.com 저작권자 2009.03.25 ⓒ ScienceTimes |
Copyright(c) 2008 Korea Scien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E-mail : ScienceTimes@scienceTimes.co.kr |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언스타임즈] 2035년의 휴머노이드 사회 (0) | 2009.03.26 |
---|---|
[사이언스타임즈] 2035의 휴머노이드 사회 영화 '아이 로봇' (0) | 2009.03.25 |
[중앙일보] 고성능 배터리의 극판 코팅용 입자(한양대 연구팀) (0) | 2009.03.23 |
[전자신문] 탄소나노튜브 두께 조절 (0) | 2009.03.16 |
[매일경제] 무선 전력 전송 (0) | 2009.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