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46

[중앙일보] 멘토링, 인공지능, 공부머리, 일머리, 자기주도 학습, AI

[김병필의 인공지능개척시대] 인공지능의 공부머리와 일머리 입력 2021-03-22 00:28:00 김병필 KAIST 기술경영학부 교수 시험을 잘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공부에는 왕도가 없다지만 시험을 잘 보는 데는 왕도가 있다. 그저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 된다. 시험 출제자들도 한계가 있는지라 이제까지 출제된 문제와 크게 다른 문제는 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제를 반복해서 풀다 보면 시험을 잘 볼 수 있다. 그래서 ‘공부 머리와 일 머리는 다르다’는 말을 종종 한다. 시험 점수가 좋다고 반드시 일을 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게다. 물론 시험 성적도 좋고 일도 잘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정형화된 시험 문제만으로는 사람의 모든 능력을 평가하기 어렵다. 인공지능 연구자들도 마찬가지 문제로 고민한다. 현재 주..

[중앙일보] 우주탐사, 발사체, 로켓,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스페이스X’의 꿈…국내 기술로 만든 한국형 발사체 산실 입력 2021-03-17 00:03:13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공장에 있는 누리호 75t급 액체우주로켓 엔진. 송봉근 기자 문을 열고 들어서니 높이 3m, 무게 912㎏의 은빛 75t 로켓엔진 5기가 초대형 태극기를 배경으로 우뚝 서 있다. 2개 층으로 된 철 구조물 위엔 작업자들이 또 다른 75t 엔진들을 조립하느라 분주하다. 그 뒤론, 노즐을 확장해 높이 4m에 달하는 75t 2단 로켓엔진이 잿빛 모습을 하고 서 있다. 구석 쪽엔 높이 1.9m의 7t 로켓엔진도 조립돼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오는 10월 발사될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로켓엔진 생산현장을 국내 언론에 처음으로 공개했다. 지난 10일 중앙일보 취재진이 찾은 경남 창..

[동아일보] 특수섬유, 기능성 섬유, 전자섬유, 웨어러블 섬유소재

100번 세척해도, 1000번 구부려도 끄떡없는 '전자섬유' 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입력 2021. 03. 15. 03:03 수정 2021. 03. 15. 03:15 댓글 56개 자동요약 음성 기사 듣기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中 연구팀 '웨어러블 소재' 개발 키보드 기능 디스플레이로 활용 스마트폰 연동해 메시지 전송 가능 펑후이성 중국 푸단대 거대분자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섬유. 팔목에 옷감처럼 사용해 내비게이션 화면으로 활용하거나 스마트폰과 연결해 메시지도 보낼 수 있다. 중국 푸단대 제공 물에 빨거나 말릴 수 있고 둘둘 말거나 늘려도 되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전자섬유 기술이 개발됐다. 현재는 세척과 건조는 100회 정도, 구부리거나 늘리는 것은 1000번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