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는 세상

[사이언스타임즈] 중국, 최근 30년동안의 과학기술발전동향

FERRIMAN 2009. 1. 5. 11:12

중국, 최근 30년 동안의 과학기술 발전 동향 유인우주선 비행, 핵발전소 건설 등 2009년 01월 05일(월)

1978년에 중국이 개방개혁을 한 이후 30년이 지난 오늘날 세계적 이목을 받는 것은 '제조대국(製造大國)'의 이미지를 벗어나 '제조강국(製造强國)'을 준비하고 '과기강국(科技强國)'으로 국가를 발전시키겠다는 국가 지도자들의 지원과 의지의 결과이다.

30년 간의 과학기술 사업의 종합분석

△ 2006년 중국 과학기술 혁신지표는 이미 1인당 GDP가 5천 달러에 달하고 과학기술 인력(연구개발 인력 포함)은 3천500만 명으로 세계 1위이다. 과학연구 결과와 혁신능력이 강화되어 2006년 발명 특허 출원 건수는 세계 4위이다.

△ 과학기술 투자 : 2006년 중국이 과학기술 사업에 투자한 금액은 1천689억 위안으로 1980년의 26.1배이다. 2006년 연구개발 투자비 기준으로 중국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다음으로 세계 6위이다.

△ 하이테크와 대외 수출입 동향 : 2007년 중국의 하이테크 제품 수출입 규모는 6천348억 달러로 1986년의 111.3배이다. 경상수지는 1986년의 42.7억 달러의 적자에서 2007년에 608억 달러의 흑자로 바뀌었다. 2007년 하이테크 제품 수출은 제품 수출 총액의 28.6%를 차지하였으며, 1986년의 2.3%에 비해 26.3% 성장하였다.

△ 주요 과학기술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우주과학 : 유인우주선 비행 성공. 창어1호 달 탐사 성공
- 정보기술 : 은하계 측정용 초대형 계산기 연구제작 성공
- 생명과학 : 중국의‘먹는 문제’를 해결하는 농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기술 발전을 이루어 세계 최초로 벼 유전자지도를 제작하였으며, 복제기술에도 집중적인 발전을 함
- 건설기술 : 삼협공정, 청장철도, 진산 핵발전소, 대아만 핵발전소 등을 자체 건설

△ 특허 : 1986년부터 2007년까지 특허 출원 건수와 등록 건수는 매년 16.7%와 25%의 성장을 하였다. 2007년 동안 특허 출원이 58.6만 건으로 1986년에 비해 25.4배 증가하였으며, 이 중 발명 특허 3.2만 건은 1986년 대비 354.9배 증가한 수치다.


과학기술 성과 현황

1978년부터 30년 동안 중국에서 등록한 과학기술 성과는 모두 62만5천951건으로 매년 3만개의 성과가 산출되었다. 과학기술 성과는 1986년 이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연구자들이 작성한 문헌에 나타나는 주요 키워드 또는 주제어의 빈도수에 따라 중국의 연구 주제 및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어 처리를 거친 후 사용 빈도가 큰 키워드를 확정한 후 정리하였다.

△ 과학기술 성과 연구 영역의 키워드에서 농업의 키워드 사용단어 빈도가 제일 높은데 이는 중국의 농업기술의 진보와 발전을 의미한다.

△ 과학기술 성과 산출부문의 키워드 사용단어 빈도를 보면 ‘대학교’ 단어의 빈도가 제일 높아 고등교육기관 연구의 중요성을 반영하였다.

△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다른 시기의 과학기술 성과 연구 특징을 대비하면 모든 키워드의 사용단어 빈도는 1980년부터 최근까지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1980년부터 1999년까지‘성과보급’, ‘성과전환’등의 단어 빈도가 비교적 높아 연구의 중점 주제어가 되었다. 2000년부터 지금까지‘성과보급’, ‘성과전환’, ‘지식 재산권’, ‘과학기술 혁신’, ‘과학기술 평가’등의 빈도수가 다른 키워드에 비해 현저히 높았고 과학기술 혁신은 최근 과학기술성과 연구의 새로운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사점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자들은 과학기술의 성과보급, 성과전환, 성과중심 연구에 중점을 두면서 과학기술 혁신 및 평가 측면에도 주요 관심을 두고 있다. 한국은 이러한 중국의 연구개발 성향을 거울삼아 한국만의 하이테크 제품과 공정기술을 중점적으로 상품화하여 중국과 대등한 관계 속에서 기술력을 선도해야 할 것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Techno Leaders' Digest (TLD)

저작권자 2009.01.05 ⓒ ScienceTimes
Copyright(c) 2008 Korea Scien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E-mail : ScienceTimes@scienceTimes.co.kr
프린트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