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경영과 경제

[중앙일보] 탄소섬유, 첨단소재, 한국카본, 카본재료, 경량재료

FERRIMAN 2020. 6. 22. 14:11

[비즈니스 현장에 묻다] "잘못된 한·중 FTA 때문에 베트남으로 간다"

입력 2020-06-05 00:23:00

 

인류는 철을 개발한 이후 끊임없이 가벼운 소재를 찾아냈다. 철에 이어 알루미늄이 나왔다. 가볍지만 물렁물렁해서 한계가 많았다. 이때 등장한 탄소의 활용은 소재의 혁명이었다. 모든 물체의 경량화가 가능해서다. 비행기와 선박은 물론이고 4차 산업혁명의 총아로 떠오른 드론의 대중화도 탄소섬유 없이는 상상할 수 없다. 탄소섬유가 없다면 4차 산업혁명도 지체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중요한 탄소 제품 때문에 분을 삭이지 못하는 기업인이 있다. 세계 최고 제품은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지만, 국내 시장이 좁아서 매출을 늘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로 눈을 돌리면 되지 않느냐는 핀잔이 돌아올 수 있다. 대한민국이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이 세계 각국으로 촘촘히 뻗어 있지 않으냐면서다. 

더욱 분통이 터지는 것은 바로 이웃에 있는 중국에 수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한·중 두 나라는 2015년 12월 시장을 서로 개방하는 FTA를 발효했다. 그러나 악마는 디테일에 있었다. 농산물 등 쟁점 품목에 협상이 집중되는 바람에 탄소제품의 관세는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 그 결과 한국의 탄소섬유 산업이 위기에 직면했다. 제품 개발과 제조 능력은 뛰어나지만, FTA 때문에 성장이 가로막혀 있다는 역설이다. 

그런 고민에 빠진 조문수(62) 한국카본 대표를 만났다. 일본과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전쟁을 벌이고 있는 나라에서 기업이 좋은 제품을 만들어내도 팔지 못한다면 소부장 독립은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소부장도 일본 기업들처럼 글로벌 시장에 내다 팔 만큼 시장이 확보돼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 시장이 좁은 국내 수요만 바라보고 성장할 수 있는 소부장 제품은 없다. 

조문수 한국카본 대표는 ’소재 산업이 잘 되려면 수출할 시장이 있어야 하고, 부품·장비 산업이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혁재 기자

그렇게 중요한 제품에 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나. "한·중 FTA를 체결할 때 구멍이 났다. 탄소섬유 복합재의 비중이 작으니 주요 협상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FTA 체결 당시 수출량이 많지 않아서 한국 협상단이 중국에 관세 인하 요구를 하지 않았다. 그 결과 탄소섬유 제품의 관세는 17.5%에 달한다. 매출의 거의 20%를 관세로 내야 한다는 얘기다. 중국에 탄소섬유, 관련 중간소재, 최종제품을 수출할 수 없게 된 배경이다."   

어렵게 키운 산업 아닌가. "탄소섬유 산업은 역대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투자해왔다. 바로 옆에 중국이라는 무궁한 시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 투자가 물거품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 탄소섬유 원재료는 효성과 도레이첨단소재가 각각 5000톤을 생산한다. 한국카본은 이것을 가공해 중간소재 프리프레그를 만든다. 탄소섬유 국내 수요는 1000톤에 불과하다.  높은 관세 때문에 중국에 팔면 바로 20% 손실이 발생한다."   

중국의 자체 생산력은 어떤가. "중국은 자체 생산을 시작했다. 품질이 떨어진다. 그런데 오히려 저가를 앞세워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관세만 내려가면 우리 제품도 경쟁력이 생긴다."   

이제라도 관세를 조정할 수 없나. 중국과 협상했던 통상교섭본부의 실책 아닌가. "당시 정부가 앞을 내다보지 못했다. 5년마다 협상안을 조정할 수 있다고 하니 이제라도 차기 협상에서 조정돼야 한다. 지금 탄소 제품 수요는 폭발적이다. 수소경제가 본격화하면서 수소전기차 1대에 탄소섬유 50kg이 들어간다. 그러나 1만대를 생산해도 탄소섬유 수요량은 500톤에 불과하다. 수출이 불가피하다."   

소부장은 육성하기도 어렵지 않은가. "소재 개발은 도중에 대부분 실패한다. 10년 만에 결과가 나오면 기적이고, 15년 걸려도 매우 잘한 것이다. 한국카본은 탄소·유리섬유 복합재 제품을 생산하는데 독보적인 효율화 기술도 갖고 있다. 기존에 수 시간이 걸리는 생산 방식에서 수 분 만에 만들어 내는 공법(PCM)을 개발했다."   

베트남 공장 사흘 만에 허가 

지난해 7월 레우벤 리블린 이스라엘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조 대표와 드론사업을 논의했다.

다른 돌파구는 없나. "결국 베트남에 탄소섬유 중간소재 공장을 건설하고 곧 준공식을 앞두고 있다. 저가 제품은 베트남에서 생산해야 겨우 사업을 이끌고 갈 수 있다. 베트남은 중국·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에서 역내 경제권으로 분류돼 현지 생산비율 40%가 넘으면 무관세 대우를 받는다. 베트남에서 놀랐던 것은 건축 허가가 사흘 만에 났다는 점이다. 매우 빠르게 공장을 건설할 수 있었다. 수개월이 걸리는 한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한국도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야 국내외 기업이 서로 찾아올 것이다."   

소재 산업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텐데. "소재 선진국에서는 제조 장비를 팔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서다. 결국 소부장이 모두 잘 되려면 제조 장비도 국산화해야 한다. 그래서 우리 회사는 직접 제조 장비를 설계한다. 설계는 우리가 직접하고 제작은 전문업체에 의뢰한다.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선박 강국이다. 이번에 카타르에서 국내 조선소 빅3가 LNG선 103척을 싹쓸이 수주한 것도 국산 소재가 뒷받침해준 덕분이다. 특히 가스 누출을 방지하는 보냉재 2차 방벽 기술은 한국카본의 독자적인 핵심기술로 세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한국 드론산업 아직 기회 많아 

항공기에는 필수품이 아닌가. "항공기 산업의 최대 승부처가 경량화다. 내부 인테리어와 좌석에는 수많은 탄소·유리섬유 복합재 제품이 들어간다. 정부의 발표대로 2025년 드론 택시가 본격화하고 보편화하면 어떻게 되겠나. 무인수송기가 앞당겨지면 터미널에서 터미널로 왕복 무인트럭이 늘어난다. 무인항공기도 실용화할 것이다. 수직으로 이착륙하기 위해서 철저한 경량화가 무인화의 열쇠가 된다."   

드론 택시의 관건이 왜 소재인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되면서 탄소섬유 수요는 더욱 늘어나고 있다. 드론 택시에 사람 4명이 타면 400kg을 실어야 한다. 그러려면 드론 택시의 무게가 통상 10배수(4톤)가 돼야 비행이 가능하다. 자체의 무게를 줄여야 성공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드론산업협회장을 맡은 것도 탄소섬유와 관계있나. "드론산업의 관건도 경량화다. 한국카본은 무인기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이스라엘항공사(IAI)와 제휴해 합작사를 만들었다. 현재 IAI는 자사의 관심사인 경량화를 위해 한국카본의 소재사용 인증 절차를 밟고 있다. 이미 한국카본은 2019년 보잉으로부터 내장 소재 인증을 취득했다."   

중국에 드론산업이 뒤처지고 있다. "국내 드론산업은 여러 정부 부처에서 따로 관리하고 있다. 협회도 나뉘어 있다. 마침 코엑스에서 7월 15일부터 무인 이동체 엑스포가 열린다. 관련 부처와 협회가 모두 모여서 힘을 합쳐야 한다. 중국은 DJI가 앞서가고 있지만 거칠게 말하면 모두 장난감만 만들고 있다. 한국은 오히려 산업용이나 군사용 드론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과 환경을 갖추고 있다. 도시와 산악 지역이 적당히 분포돼 있어 이만한 테스트 베드가 없다."   

■ 소재 불모지에서 탄소·유리섬유 복합재 개발「 한국카본은 자동차·항공기·선박에 사용되는 탄소·유리섬유 관련 제품을 생산한다. 조문수(62) 대표는 1972년 설립한 한국화이바의 창업자 조용준(89) 회장의 장남으로 복합소재개발과 생산에 평생을 보냈다. 국내 탄소섬유 제품의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초기에는 낚싯대에서 시작해 골프채까지 개발했다. 최종 제품도 만들 수 있지만, 소재 개발에만 전념했다. 그 결과 탄소·유리섬유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했다. 한국에선 1980년대만 해도 고급 장판도 만들지 못했다. 집집마다 쓰는 장판에 사용되는 유리섬유페이퍼(고급 글래스페이퍼)의 100%가 일본 제품이었지만 2000년부터 유리섬유페이퍼를 국산화해 지금은 95%가 한국카본 제품이다. 역으로 일본에 수출하고 있다. 또 유리섬유페이퍼 시장의 성장성에 맞춰 충북 보은에 신규 라인을 증설해 올해 6월부터 생산을 시작했다. 

조 대표는 사회봉사 활동에도 열정적이다. 모범수로 인정받은 교도소 재소자를 받아들여 6개월간 일을 배우게 한다. 지금까지 140명이 거쳐서 갔고, 출소 후 재범률 제로(0)를 기록하고 있다. 공장에서 일하면서 삶의 어려움 체험하면서 모두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는 얘기다. 조 대표는 "정부에서는 따로 지원이 없다"면서도 "사회에 나간 뒤 명절에 작은 선물을 보내오는 경우도 있는데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   

김동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