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미래의 과학기술 미래 세계를 흔들어놓을 7대 기술 외골격, 원자력 전지, 만국어 통역기, 브레인 스캐너 등 2011년 01월 05일(수) 융합기술 현장 앞으로 10년 또는 20년 뒤에 세상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LG경제연구원은 신년을 맞아 미래 세상을 바꿔놓을 7개 분야 첨단 기술을 선정했다. L..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1.01.06
[사이언스타임즈] 우리나라 산업 발전을 이끈 주요 기술 한국의 엔지니어… 기적을 만들었다 국내 최초 진공관 라디오 ‘금성 A-501’ 2011년 01월 03일(월) 한국공학한림원은 한국전쟁 60년째인 2010년을 마감하면서 60년 동안 '한국 號'를 이끌어온 '100대 기술과 주역'을 발표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신년을 맞아 한국경제가 약 300배 성장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해..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1.01.03
[사이언스타임즈] 자성유체 인위적으로 움직이는 자성유체의 활용 생체연구에서 예술작품까지… 다방면에 유용 2010년 12월 30일(목) 보통 ‘자석’이라 하면 딱딱하고 외형이 고정적인 고체 금속 자석을 생각하기 쉽다. 또한 그 자석에 달라붙는 물질도 쇠붙이와 같은 고체형태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자성은 고체만이 가지는 ..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2.30
[사이언스타임즈] 한국의 희토류 자원 정책 가시화되고 있는 희토류의 자원무기화 한국, 자주개발률 26% 상향조정 등 본격 대처 2010년 12월 24일(금) 사이언스타임즈는 2010년을 돌아보는 의미에서 '올해 10대 이슈'를 선정해 게재한다. 그 아홉 번째 순서로 2010년 전세계의 화두로 부상한 희토류 자원의 무기화에 대해 정리하고, 각국의 대책을 알아..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2.24
[사이언스타임즈] AM OLED수요의 98% 한국산 제품 두루마리 디스플레이 한국이 만든다 세계 AM OLED 수요의 98% 한국산 제품 2010년 12월 20일(월)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란 빛을 내는 층이 단백질 등의 유기화합물로 돼 있는 박막 발광 다이오드를 말한다. 2002년 일본 NEC가 개발했는데 놀라운 성능을 갖고 있다. 밝은 빛에서도 최도 160도까지 넓은 가시 각도..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2.20
[사이언스타임즈] 그래핀 영문 기사 Technology to Allow for Domestic Production of Dream Material Graphene Preparing for new, post-silicon IT revolution 2010년 12월 13일(월) <사이언스타임즈>는 KISTI와 공동으로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기사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전문번역원을 통해 영문화된 ..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2.13
[사이언스타임즈] 그래핀의 응용 Applying LED, Solar Cell Functions to 'New Dream Material' Graphene Newly developed light-emitting device freely and easily attachable to circuit boards as required 2010년 11월 23일(화) <사이언스타임즈>는 KISTI와 공동으로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기사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이언스타임즈..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1.23
[중앙일보] 북한의 핵무기 개발-플로토늄탄과 우라늄탄의 차이점 ‘스텔스 핵 공장’ … 정찰위성으로도 사실상 포착 불가능 기사 입력 2010.11.22 00:34 / 수정 2010.11.22 07:17 ‘스텔스 핵 공장’ … 정찰위성으로도 사실상 포착 불가능 북, 핵무기용 우라늄 농축시설 공개 고농축우라늄 왜 위험한가 북한의 고농축우라늄(HEU) 핵무기 개발 계획이 마침내 베일을 벗었다. 2002.. 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201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