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세라믹,그리고 Ferrite

[사이언스타임즈] OLED(영문/국문)

FERRIMAN 2011. 2. 8. 13:22


Highly Efficient OLED Production Technology Developed The production in liquid form of all functional layers 2011년 02월 08일(화)
<사이언스타임즈>는 KISTI와 공동으로 한국의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기사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전문번역원을 통해 영문화된 기사를 한 달에 3∼5회 독자분들에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영문기사는 홈페이지 www.koreascience.k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집자 註]

영어로 읽는 과학기사 KAIST said on January 25 that a research team led by Prof. Yang Min-yang from its mechanical engineering department had developed a technology that allows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OLEDs in atmosphere.

The technology developed by Prof. Yang was devised to allow for the production in liquid form of all functional layers (electron hole injection layer, light emitting layer,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electron injection layer) in OELDs, excluding metallic electrodes such as anodes and cathodes. Since this liquid can be applied to solution processes such as printing technology, it will likely become possible to produce OLEDs at low cost.

Notably, alkaline and alkaline earth metal materials, which constitute electron injection layers of conventional OLEDs, are unstable in the atmosphere. But the new process, which the research team obtained by using a 5nm zinc oxide nanoparticle solution and ammonium ion solution, does not contain alkali and alkaline earth at all, and is thus stable in atmosphere.

Using the new technology, the research team has thus realized high-performance lighting of 10cd/A of light emitting efficiency, and 50,000 cd/ in luminance.

The study was published in the December 14, 2010 issue of 'Applied Physics Letters' an authoritative scientific journal.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cess for domestic and overseas patents has already been completed.

[한글 기사 보기]

(Daejeon=YonhapNews ) Jung Yun-duck | cobra@yna.co.kr

저작권자 2011.02.08 ⓒ ScienceTimes
Copyright(c) 2008 Korea Scien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E-mail : ScienceTimes@scienceTimes.co.kr
프린트닫기

KAIST, OLED 고효율 제조기술 개발 2011년 01월 25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기계공학과 양민양 교수팀이 대기중에서도 쉽게 고분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양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OLDE의 음극이나 양극과 같은 금속 전극을 제외한 기능성 층(정공주입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을 모두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고안됐는데 이 액상물질은 인쇄기술과 같은 용액공정을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존 OLDE의 전자주입층을 구성하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물질의 경우 대기중에서 불안정한 데 비해 연구팀이 5㎚ 크기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용액과 암모늄 이온용액을 활용해 제시한 공정은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을 전혀 포함하지 않아 대기중에서도 안정적이다.

연구팀은 새 기술을 이용, 발광효율 10cd/A와 휘도 5만cd/㎡의 고성능을 구현했다.

이 같은 성과는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Applied Physics Letters)' 지난해 12월 1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고 현재 국내 및 국제 특허출원이 완료됐다.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cobra@yna.co.kr

저작권자 2011.01.25 ⓒ ScienceTimes
Copyright(c) 2008 Korea Scienc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E-mail : ScienceTimes@scienceTimes.co.kr
프린트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