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46

[중앙일보] 우리나라 우주 프로젝터 발사체 역사, 발사체 제원 비교, 발사체 개발과정, 로켓 개발과정

"내년 5월 2차 발사 때까지 문제점 개선 어렵지 않아" 입력 2021-10-23 00:02:03 수정 2021-10-23 00:32:39 [SUNDAY 인터뷰] ‘누리호’ 개발 주역 고정환 항우연 본부장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에 전시된 75t 액체로켓 앞에 섰다. 고 본부장은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첫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 개발의 주역이다.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인터뷰 시작부터 울먹였다. 애써 돌린 고개 너머로 눈물이 비치는 듯했다. 21일 오후 9시, 누리호가 우주로 떠난 지 4시간이 흘렀다. 늦은 오후의 전율과 흥분이 잦아들고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 깊은 어둠이 내린 시각이었지만, 낮부터 스며든 정체를 알 수 없는 감정은..

[중앙일보] 로켓, 누리호, 엔진 사진, 로켓엔진, 발사체, 액체연료

20㎝로 시작해 75t 액체로켓…누리호 '30년 기적'이 날았다 입력 2021-10-22 04:00:00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1단 추진기관이 2차 연소시험을 진행하는 모습. [사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0년 축적의 시간이었다.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첫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가 우주로 올라가기까지 걸린 세월과 그 의미다. 21일 발사에서 3단 75t 엔진의 연소가 조기종료되면서 목표 속도인 초속 7.5㎞에 도달하지 못해 마지막 궤도진입에 실패했다. 하지만, 우주발사체의 핵심인 1단부의 75t 엔진 4개 묶음과 2단부 연소과정까지는 완벽했다. 1957년 당시 소련이 세계 최초로 우주로켓 발사에 성공한 지 60여 년이 지난 뒤였지만, 한국은 그간 자체기술..

[중앙일보] 배터리, 이차전지, 음극재, 전극재, 2차전지, 충전시간

배터리업계 "충전 시간 줄여라"…음극재에 사활 건다 입력 2021-10-15 00:04:04 10년 동안 몰던 준중형 승용차를 처분하고 새 차를 사려는 회사원 김경민(49)씨는 최근 몇 달간 고민했다. 그는 새 차를 사면 은퇴할 때까지 출퇴근용으로 쓸 생각이었다. 각종 할인과 세금 감면 혜택을 고려하면 친환경 전기자동차를 사고 싶었다. 하지만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시간이 길다는 게 마음에 걸렸다. 2차전지 핵심소재 해외의존도.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결국 전기와 휘발유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 결정했다. 김씨는 "휘발유 주유 시간과 (전기차 배터리) 충전 시간에 큰 차이가 없다면 전기차를 선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제조..

환경과 에너지 202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