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46

[중앙일보] 플라스틱, 생분해, 바이오 플라스틱,

생분해 플라스틱이라는데…소각되는 것도 많다 입력 2021-09-14 00:48:42 추적, 플라스틱 쓰레기〈2부〉 서울에 사는 직장인 김모(35)씨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일회용품 사용이 급증했다는 기사를 접한 뒤 친환경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됐다. 올 들어 ‘생분해’나 ‘친환경’ 문구가 적힌 제품을 골라 쓰는 게 습관이 됐다. 비닐 봉투가 필요할 때도 검은색 일반 봉투 대신 생분해 제품을 들고 다니며 쓴다. 이른바 친환경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일반 플라스틱 대신 바이오 플라스틱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상점이나 카페에서도 이들을 겨냥한 ‘친환경’ 비닐봉지나 음료 컵 등을 제공한다. 녹색연합이 지난해 10~11월 시민 137명에게 물었더니 70%가 생분해 플라스틱을 이용해본 적..

환경과 에너지 2021.10.01

[중앙일보] 인공지능, 반도체, 기억용량, 뇌 복사, 뉴로모픽

더이상 꿈이 아니다, 사람 뇌를 복사해 붙인 반도체 입력 2021-09-27 00:04:02 구글의 인공지능(AI) 알파고는 2016년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에서 4대 1로 승리했다. 하지만 알파고는 구동하는데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당시 알파고는 중앙처리장치(CPU) 1200개, 영상처리장치(GPU) 176개, 기억장치 920TB(테라바이트)를 갖췄다. 전력 소모는 약 12GW(기가와트)였다. 사람이 식사할 때 소모한 에너지(약 20W)와 비교하면 상당한 비효율이다. 복사한 뉴런 지도를 활용해 재현한 뉴로모픽 반도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알파고 같은 고성능 컴퓨터를 구현하면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고효율 반도체를 현실에서 선보일 수 있다..

[중앙일보] 미터법, 측정, 멘토링, 측정 단위,

[중앙시평] 1미터의 의미 입력 2021-09-27 00:44:00 대단히 교육받지 않은 사람들도 1미터가 얼마나 긴지는 안다. 자기의 키가 몇 센티미터(cm, 1미터의 100분의 1)인지, 자기가 100미터를 몇 초에 뛸 수 있는지도 알 것이다.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1킬로미터가 1천미터라는 것도 안다. 이렇게 우리 생활에 속속들이 박혀 있는 것이 미터이며, 또 그 이외에도 리터, 그램 등 여러가지 측정 단위를 규정해 놓은 것을 미터법이라 한다. 생각없이 상용하고 있는 이 미터법이 한국에 정착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은 아니다. 우리 정부에서 미터법을 전면 실시한 것은 1964년이었다. 그 후에도 다년간 고기는 그램이 아니라 근으로, 곡식은 말이나 되로 흔히 판매되었던 기억이 난다. 요즘 젊은 사람들은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