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는 세상 879

[중앙일보] 임진왜란, 선조, 치욕, 국치, 명나라, 일본

[한명기의 한중일 삼국지] 명군에 결전 호소한 선조 "아니면 일본에 항복할 것" 입력 2021-08-27 00:34:00 대하드라마 ‘징비록’(2015)은 류성룡의 동명 저술을 바탕으로 임진왜란 전후를 조명했다. 드라마에선 배우 김태우가 선조 임금을 연기했다. 전쟁을 맞아 선조가 보인 행태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좋은 교훈이 된다. [화면 캡처] 1593년(선조 26) 1월 말, 명군 제독 이여송(李如松)은 조선의 도체찰사(都體察使) 류성룡(柳成龍), 호조판서 이성중(李誠中), 경기도 관찰사 이정형(李廷馨) 등을 개성에 있던 자신의 군진으로 호출한다. 이여송은 류성룡 등 조선 신료들을 무릎 꿇린 뒤 군법을 집행하겠다고 길길이 뛰었다. 류성룡 등이 군량 조달과 공급을 태만히 하여 명군 장병들을 굶주리게 만들었..

[중앙일보] 파리대왕, 인간성, 인간관계, 이념, 편가르기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파리 대왕’이 남긴 것…폐쇄공간에선 불의가 판친다 입력 2021-08-19 00:38:00 무인도에 불시착한 아이들을 다룬 영화 ‘파리 대왕’(1992). 현실 정치의 생리를 보여주는 우화처럼 다가온다. [화면 캡처] 정치의 시작과 끝에 관한 우화로서는 윌리엄 골딩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파리 대왕’만한 것이 드물다. 영화는 바다 한가운데서 일어난 비행기 사고로부터 시작한다. 이 느닷없는 사고로 인해 비행기에 탔던 소년들은 무인도에 불시착한다. 자신들을 보호하고 인도하던 어른들은 순식간에 사라졌다. 그들은 이제 무인도에서 자신들의 생존을 도모해야 한다. 왜 하필 무인도인가. 무인도는 내륙에서 제공되던 각종 문명이 사라진 곳이다. 사회적 습속에 가려져 있던 인간의 민낯이 드러..

[중앙일보] 미술, 이건희 기증전, 아기 업은 소녀, 장욱진 화백, 공기놀이

[이은주의 아트&디자인] 이건희 기증전에서 만난 아기 업은 소녀들 입력 2021-07-27 00:24:00 수정 2021-07-27 06:37:00 "‘실물 영접’이란 말은 바로 이런 때 쓰는 말인가 봅니다." 지난 21일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막한 ‘이건희 기증전’ 관련 기사가 나갔을 때 한 독자가 남긴 댓글입니다. 삼성가 유족들이 고(故) 이건희 회장이 평생 수집한 문화재와 미술품을 기증한 후 ‘이건희 컬렉션’의 실물을 보고 싶어하는 사람이 어디 한둘이었을까요. 미술 담당 기자들도 그 실체가 궁금한 것은 마찬가지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한국미술 명작’을 직접 본 소감을 두 단어로 요약하면 ‘압도감’과 ‘친근감’이었습니다. 우선 전시작은 58점에 불과하지..

[중앙일보] 팝가수, 밥 딜런, 노벨상,

"내 영혼 사로잡아" 노벨상 밥 딜런 ‘영감의 근원’은 와인 입력 2021-06-26 00:21:02 수정 2021-06-26 02:47:00 시인이자 가수인 밥 딜런에게 와인은 영감의 원천이었다. [AP=연합뉴스] 노벨문학상 시인이면서 가수인 밥 딜런이 지난달 80세가 됐다. 그의 애인이었던 존 바에즈와 사이먼 앤 가펑클의 폴 사이먼도 올해 80세다. 한국의 1970년대 문화운동을 이끈 김민기는 올해 만 70세, 그가 만든 노래 ‘아침이슬’이 세상에 나온 지 50주년이 됐다고 한다. 그들의 음악을 통해 위로받고 꿈을 꾸었던 세대에게 마음속 영웅들이 늙어 간다는 사실은 받아들이기 힘들다. 그들 중 한 명인 김민기씨와 만나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베를린에 주재하고 있던 2001년이었다. 그가 ‘지하철..

[중앙일보] 음악, 공연예술,

‘범 내려온다’ 6억뷰 주역들, 수궁가 전곡으로 전석 매진 입력 2021-06-15 00:03:00 6억 조회수를 기록한 ‘범 내려온다’를 비롯해 수궁가 11곡 전체를 공연한 이날치 밴드와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 [사진 LG아트센터] 대표곡은 ‘범 내려온다’다. 소리꾼, 베이스, 드럼이 모인 ‘이날치 밴드’의 노래다. 여기에 이름 그대로 애매모호한 춤을 추는 ‘앰비규어스 댄스 컴퍼니’가 함께 한 영상은 그야말로 터졌다. 2019년 네이버 온스테이지 영상은 유튜브 조회 수 1400만을 기록했고, 지난해 7월 한국관광공사의 홍보영상은 유튜브, SNS에서 도합 6억 뷰다. 급기야 앰비규어스는 지난달 밴드 콜드플레이의 신곡 ‘하이어 파워(Higher Power)’ 뮤직비디오에 출연했고, 브릿어워즈 오프닝 무대..

[연합뉴스] 고령사회, 노령화, 고령화,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노인 78.2% 자녀와 따로 산다..36.9% 경제활동, 주된 이유는 생계비 김예나 입력 2021. 06. 07. 11:00 수정 2021. 06. 07. 14:38 댓글 225개 자녀와 동거 희망비율 지속 감소..2017년 15.2%→2020년 12.8% 스마트폰 쓰지만 활용 정도는 차이..74%는 '70세 넘어야 노인'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인 가운데 노년기에 자녀와 함께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노인은 10명 중 2명이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인 비율은 꾸준히 늘었지만 다수는 농·어업이나 단순 노무직에 종사했다. 일하는 노인 10명 중 7명 이상은 생계비를 마련하는 게 주목적이었다. '자녀와 함께 산다' 20...

[중앙일보] 소설, 문제작, 논란

[전문기자 프리즘] 문제 소설 폐기, 성급하지 않나 입력 2021-05-15 00:26:00 9개월 전 ‘김봉곤 사태’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최근 김세희 소설이 불러일으킨 ‘아웃팅’(당사자의 동의 없는 성적 정체성 공개) 논란 말이다. 폭로 혹은 주장→작가와 출판사의 대응 또는 침묵→신속한 소설책 판매 중단. 이런 수순과 속도에서 두 작가의 상황이 흡사하게 느껴진다는 얘기다. 지난해 소설가 김봉곤의 추락에 필요한 시간은 일주일이었다. 그의 단편 ‘그런 생활’로 인해 민감한 사생활이 고스란히 노출됐다는 여성의 트위터 폭로가 올라온 게 7월 10일. 김봉곤이 "세심하지 못했다"며 사과했지만, 17일 또 다른 사생활 침해 주장이, 이번엔 한 남성에 의해 제기되자 작가와 출판사가 백기를 들었다. 문제의..

[중앙일보] 고령화, 고령사회, 노령화, 은퇴 설계, 퇴직

[라이프 트렌드&] 빠르게 늙어가는 대한민국, 은퇴 설계 준비 하셨나요? 입력 2021-05-11 00:04:05 대한민국은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200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7%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한국은 2018년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5년 후인 2026년이 되면 고령인구 비중이 20%가 넘는 ‘초고령사회’로 접어들 전망이다. 여유로운 노후 위해 연 3200만원 필요 고령화로 은퇴 설계가 중요해졌다. 하지만 가족 생활비, 자녀 교육비, 주택마련 자금 등에 많은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노후를 제대로 준비하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국민연금공단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한 달 적정 노후 생활비로 부부 가구는 267만8000원..